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생각

금에도 김치 프리미엄이 붙었다, 지금도 금, 은 투자해도 될까?

by wbhistory 2025. 2. 18.

 김치 프리미엄은 사실 코인판에서 쓰이는 용어입니다.

 

 비트코인을 바이낸스 같은 해외거래소에서 사는 것보다 업비트, 빗썸 같은 국내 거래소에서 사는 것이 더 비싸서 붙은 말이죠.

 

 그런데 최근 금 값이 고공행진하면서 한국 금 시세에도 김치 프리미엄이 붙는 현상이 생겼습니다.

 

 왜 이렇게 금 가격에 김치 프리리엄이 끼었는지 알아보고, 지금도 금과 은에 투자해도 되는지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국제 금 가격보다 한국이 더 비싼 이유?

한국 금 가격과 국제 금 가격 격차 그래프와 금 신규 계좌 개설 현황
한국 금 가격과 국제 금 가격 격차 그래프와 금 신규 계좌 개설 현황

 위 그래프를 보면 2024년부터 조금씩 금에 김치 프리미엄이 붙기 시작하더니 올해 들어 그 상승세가 더 가팔라진 모습입니다.

 

 2025년 2월 13일 종가 기준 한국의 금 1g당 가격은 16만 1990원이었고, 국제 금 가격은 13만 5588원입니다.

 

 한국의 금 가격이 국제 금 가격 대비 약 20%나 높게 거래되고 있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이 분석한 이번 상황의 원인은 크게 3가지입니다.

1️⃣ 포모(FOMO)현상
2️⃣ 실물 금 부족
3️⃣ 원화 약세
반응형

1. 포모(FOMO) 현상

 뉴스에서 금 가격이 많이 올랐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사람들이 포모현상을 느끼고 뒤늦게 금 투자에 뛰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신기한 게 사람들은 금 가격이 저렴하던 2022-2023년에는 투자를 하지 않다가, 금가격이 치솟은 지금에서야 금을 사겠다고 어떻게 하면 금에 투자할 수 있는지 방법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위의 그래프에 나온 것처럼 KRX금현물 투자 계좌 개설자 수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KRX금현물 거래량이 24년에 비해 25년에 약 5.3배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만큼 금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KRX금시장 금 현물 거래량 그래프
KRX금시장 금 현물 거래량 그래프

 

2. 실물 금 부족

 이렇게 금투자 광풍이 불다 보니 자연스럽게 국내의 실물 금이 부족해졌습니다. 아래 사진은 우리나라 5대 은행의 골드바 판매액 그래프입니다.

 

 전년 대비 골드바 판매액이 약 20배 증가하였고, 전월 대비로는 약 3배가 증가하였습니다. 

 

 이렇게 단기간에 금에 대한 수요가 쏠린 것이 금에 김치 프리미엄이 끼게 만든 원인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5대 시중은행 골드바 판매액 그래프
5대 시중은행 골드바 판매액 그래프

 

3. 원화 약세

 우리나라의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12월부터 환율이 급격히 치솟아 1,500원을 돌파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생겼습니다. 실제로 1,470원 이상 환율이 올라가기도 했었죠.

 

 그래서 원화를 들고 있으면 바보다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사람들이 원화를 대신해서 투자할 수 있는 안전자산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금이 바로 그 조건에 부합하는 자산이었죠. 금은 인플레이션을 방어하고, 경제위기에서도 가치가 유지되는 대표적인 안전자산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예전부터 금에 투자해 왔습니다.

 

 국내 경제상황은 좋지 못해 원화의 가치가 하락하고 있고, 뉴스에서 금 가격이 상승한다고 하니 미국 주식에 투자하기 무서운 안전지향 투자자들은 금에 투자했을 것입니다. 

 

 그런 수요들이 몰려 금 가격이 한국만 유독 비싸진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온누리 상품권으로 골드바를 사재기한 것도 한국의 김프현상에 한몫했다고 봅니다.

 

 온누리 상품권은 구입 시 15%를 돌려줍니다.

 

 전통시장 근처에 있는 금은방에서 온누리 상품권으로 금을 구입하면 실제 가격보다 15%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어 이슈가 되었습니다.

 

지금 금, 은 투자해도 될까?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아니요'라고 말할 것입니다.

 

 언젠가는 금에 붙어있던 김프가 사라질 것이고 그러면 순식간에 -20%의 손해를 보게 됩니다.

 

 금, 은의 특성상 주식처럼 변동성이 큰 자산이 아니기 때문에 20%의 손실을 만회하려면 장기간 기다려야 합니다.

 

 물론 기다리면 언젠가 본전이 오긴 할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은 필연적인 것이고 인플레이션만큼 금과 은 가격은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대신 투자를 결정할 때 그 돈을 금이나 은이 아닌 다른데 투자하면 더 높은 수익을 볼 수도 있다는 기회비용을 반드시 고려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솔직히 현재 금 가격이 싼 가격은 절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 글은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모든 투자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