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하다 보면 한 번씩 현타가 올 때 있습니다. 특히 주식, 코인처럼 변동성이 큰 자산을 투자할 때는 자주 드는 감정입니다.
이번에는 제가 투자를 하면서 겪었던 세 가지 상황과 성공 투자를 위해 지녀야 할 마음가짐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투자를 하면서 겪었던 세 가지 상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에서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오랜 기간 적립식 투자했는데 손실일 때
3️⃣나는 손실인데 누군가는 같은 종목으로 수익보고 있을 때
1. 내가 파니까 주가가 올라갈 때 or 내가 사니까 주가가 떨어질 때
저도 오늘 아침에 매수 체결된 카톡을 보고 느낀 감정입니다.
저는 어제 자기 전 TQQQ를 77.13달러에 20주 매수 주문 걸어두고 잤습니다.
매수를 걸어 놓은 이유는 공포탐욕 지수가 극심한 공포 단계인 22였고, 어제 발표한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의 실적이 괜찮게 나왔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요 며칠 횡보하다가 슬슬 반등하지 않을까 싶어서 매수를 걸어두고 잤습니다.
그런데 예상과 달리 TQQQ 종가가 71달러 부근이더라고요.
'왜 더 내려갔지? 분명히 엔비디아 실적 잘 나와서 반등해줄줄 알았는데'라는 생각과 함께 추가로 21주 더 추매 했습니다.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미국 대선 직후 테슬라가 미친 듯이 상승할 때의 일입니다.
저는 TSLL을 평단 8달러 부근에서 소량 보유 중이었습니다.
그런데 이게 상승하더니 거의 5배까지 상승하더라고요?
그런데 저는 2-3배 올랐을 때 매도하려고 한 물량을 일찍 팔아서 39달러 부근의 수익을 맛보지 못했습니다ㅜㅜ
저도 사람인지라 '이때 매도하지 말고 39달러 부근에서 매도했으면 수익이 얼마야'라는 생각이 저절로 들더라고요.
2. 장기 적립식 투자했는데 수익률이 계속 마이너스일 때
열심히 오랜 기간을 적립식으로 매수했는데 계속 마이너스를 보고 있을 때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때가 가장 비참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국장을 하면 대부분 투자한다는 삼성전자와 코인계의 이인자 이더리움의 적립식 투자 예시를 가져왔습니다.
아래는 삼성전자의 주봉차트입니다. 1년이 52주 정도 되기 때문에 60주 이평선을 1년으로 잡으면 편합니다.
현재 삼성전자의 주가는 20주 이평선과 맞닿아있습니다.
60, 120, 200주 이평선과는 상당한 격차가 있습니다. 이 말은 최근에 투자를 시작한 사람을 제외한 대부분의 투자자는 손실 중이라는 뜻입니다.
잃어리움, 잊어리움으로 조롱받는 이더리움의 일봉차트입니다.
이더리움도 5일 이평선을 비롯한 모든 이평선보다 가격이 아래에 위치해 있습니다.
3. 나는 손실인데 누군가는 같은 종목으로 수익 보고 있을 때
미국 주식 카페나 스레드에서 같은 종목으로 누군가는 수익 인증 글이 올라온 것을 보면 속이 쓰립니다. 저의 경우에는 TMF가 해당됩니다.
현재는 TMF를 손절처리해서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평단이 55-60달러 부근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하지만 최근에 TMF가 40달러일 때 들어간 분들은 10% 수익 보고 있더라고요.
저의 경우에는 위의 3가지 상황일 때 현타가 와서 멘털에 위기가 찾아오곤 했습니다.
하지만 그럴 때일수록 이성적으로 생각하고, 판단을 내려야 합니다.
충동적으로 다른 사람의 수익 인증, 하락하는 차트만 보고 매수하거나 매도한다면 절대 투자를 오래 할 수 없습니다.
저는 동의하지 않는 말이지만 공부는 엉덩이 싸움이라고 하잖아요?
그만큼 참을성 있게 책상에 앉아서 오래 공부하는 사람일수록 성적이 좋다는 말입니다.
투자도 이런 면은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매수했던 종목보다 다른 사람의 종목이 좋아 보인다고 주관 없이, 메뚜기처럼 투자를 했다가는 큰 손실을 보게 됩니다.
지금은 내가 지금 뭐 하는 건가 싶기도 하고, 지금이라도 팔아야 손실을 줄이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것입니다.
하지만 길게 보면 결국 버티는 자의 수익이 가장 큽니다.
그러니 이렇게 하락하는 하락장일수록 좋은 자산을 매수할 찬스라고 생각하고 끝까지 버티시기 바랍니다.
투자는 어차피 오르락내리락하는 것입니다. 용수철도 접혀야 튀어 오르듯 투자 수익도 마찬가지로 그런 기간이 필요합니다.
하락장에서 버티는 자만이 수익을 얻는다.
모든 투자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재테크 >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에게 계산 시켜 본 10년 뒤 나의 자산 예상 시뮬레이션 (0) | 2025.04.02 |
---|---|
대출 받아서 투자해도 될까? 투자 전 반드시 고려해야 할 4가지 질문 (0) | 2025.03.31 |
주식, 코인 투자가 쉬울까? 만만하게 보면 안 되는 이유 (0) | 2025.02.19 |
금에도 김치 프리미엄이 붙었다, 지금도 금, 은 투자해도 될까? (0) | 2025.02.18 |
트럼프 관세 부가 정책이 주식과 코인에 미친 영향 (0) | 2025.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