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기 때도 중국과의 관세정책으로 주가가 롤러코스터를 탔던 기억이 납니다.
너무 오래전이라 기억이 잘 나지는 않지만 트럼프가 중국 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말하면 국내 장과 미국 장 모두 하락하였던 것 같습니다.
그러다 아래 사진처럼 시진핑이랑 악수하는 사진 찍으면서 주가를 올리는 모습을 보여주곤 했습니다.
어제 트럼프의 관세 발언으로 짧은 시간 동안 코인 시장이 훅 빠졌다 회복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에 따른 주식과 코인 시장의 움직임에 대해 분석하려고 합니다.
1. 트럼프 1기의 관세 정책과 시장 움직임
기억이 가물가물하여 2017년 1월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의 기사를 대강 훑어보았습니다.
트럼프 1기의 관세 정책은 한 마디로 요약하면 미중무역갈등입니다.
가. 미중 무역 갈등
트럼프는 대선 후보 시절부터 중국산 수입제품에 45%의 관세를 매기고,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중국과 친한(?) 멕시코산 제품은 3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습니다.
기사를 다시 보면 시장에서는 '트럼프가 말하는 건 미국에게 유리하게 하려고 뻥치는 거야'라고 생각한 듯합니다.
그래서 그 당시에 시장은 별 반응 없이 계속 상승하였습니다.
그러다 트럼프가 45%까지는 아니지만 철강에 대해 25%의 관세를 매기면서 본격적인 미중 무역갈등이 시작되었습니다. 그 기간이 2018-2019년입니다.
나. 주가 차트
트럼프 1기 당시의 S&P500 차트입니다. 트럼프가 관세에 대해 멘트를 하면 주가가 출렁거리는 현상이 많았습니다.
2018년 초에 철강은 25%, 알루미늄은 10%의 관세를 매길 수 있다고 발언하자 주식시장이 하락하였습니다. 그러다 진짜로 부과를 하자 반등했던 폭을 전부 반납하였습니다.
그리고나서 조금 평화롭게 지나가나 싶다가 9월 24일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하여 주식시장이 하락하였습니다.
그 전까지는 트럼프가 300억 달러, 1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했는데 2000억 달러는 규모가 갑자기 커졌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 그런지 시장이 다시 V자 반등으로 순식간에 회복하였습니다.
2019년 5월 10일 트럼프는 2018년 9월에 발표했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그래서 주식시장이 한 번 조정을 받았습니다.
다. 코인 차트
주식시장이 하락했던 기간과 동일한 구간의 가격변화를 표시했습니다.
코인은 2021년도에 큰 상승을 해서 그 전 구간의 하락폭이 작아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같은 기간 -50% 이상 하락하였습니다.
그리고 2019년 5월 부근에는 오히려 50%이상 급등하였습니다.
관세 정책 시기 때 주식시장과 코인시장의 움직임을 차트를 통해 살펴보았습니다. 공통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들은 총 4가지가 있습니다.
2️⃣하락의 기간은 길지 않고 짧은 편이며, 순간적으로 급락하는 모양새가 많다.
3️⃣트럼프가 완화적인 말을 해서 V자 반등으로 다시 상승하는 경우가 많다.
4️⃣주식시장보다 코인시장의 등락폭이 훨씬 크다.
2. 트럼프 2기 관세 정책과 시장 움직임
2월 1일 트럼프가 멕시코, 캐나다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는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을 2월 4일부터 실시하겠다고 발표합니다.
그러자 캐나다도 미국 제품에 25%관세를 똑같이 부여하겠다고 발표하고, 중국은 WTO에 제소하겠다고 발표합니다.
2월 3일 트럼프가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에 서명했다는 뉴스가 나오자 비트코인이 순식간에 91K 부근까지 하락했습니다.
비트코인은 하루 일봉 폭이 10.5%의 변동성을 보였고, S&P500은 2.1%의 변동폭을 보였습니다. 확실히 코인의 변동폭이 주식에 비해 훨씬 큽니다.
그래서 어제 하루동안 청산된 코인 선물 규모는 80억-100억달러 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그만큼 변동성이 진짜 미쳤었습니다.
어제 바이낸스 코인들은 대부분이 피바다였습니다. 크게 빠진 코인들은 하루에만 -30% 이상 빠지기도 했고, 그나마 선방한 코인들은 -10% 정도의 하락으로 그쳤습니다.
솔직히 저도 지난 번에 성급하게 남은 현금 거의 다 써서 알트코인을 추매 했거든요. 이렇게 하락하니 수익이었을 때 비중 줄이고 현금확보 해둘 걸 하는 후회가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반등해서 오르면 최소 30%의 현금은 확보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다행히 트럼프가 멕시코, 캐나다와 협상하여 관세 부과를 늦추겠다고 발표하자 코인은 다시 어제의 하락폭을 만회한 모습입니다.
결론
하지만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유예된 것일뿐 다시 코인이나 주식시장의 조정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멕시코와 캐나다의 25%관세 부과는 한 달 뒤로 유예되었고, 중국과의 관세 문제는 현재 진행형입니다.
최근에는 유럽연합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발언하고 있습니다.
아마 2월 중순이나 말부터 관세 문제가 다시 대두되며 조정이 시작될 수 있는만큼 저는 이번 반등에서 BITX와 ETHU 같은 코인 관련 ETF를 정리하고, 알트코인도 일부 매도할 생각입니다.
현금이 있어야 하락이 나와도 차분히 대응할 수 있으니까요.
이 글은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모든 투자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재테크 >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코인 투자가 쉬울까? 만만하게 보면 안 되는 이유 (0) | 2025.02.19 |
---|---|
금에도 김치 프리미엄이 붙었다, 지금도 금, 은 투자해도 될까? (0) | 2025.02.18 |
딥시크로 인해 주식, 코인 시장이 하락했다 (0) | 2025.01.28 |
비트코인, 이더리움 ETF VS 현물 투자 (0) | 2024.12.02 |
배당주는 안전한 투자일까? (0) | 2024.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