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를 시작하기로 마음먹었다면 두 번째로 고민하는 문제가 ‘무엇에 투자할 것인가?’입니다.
개별주투자와 지수투자의 장단점을 알아보고 저는 어떤 투자를 하고 있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개별주 투자의 장단점
먼저 개별주 투자의 장점은 어떤 종목이냐에 따라 시장 수익률을 초과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 나스닥, S&P500과 달리 내가 투자하고 싶은 회사의 주식만 골라서 살 수 있습니다.
단점은 시장 지수에 비해 변동성이 커서 지수 투자에 비해 멘탈이 흔들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리고 저평가된 기업, 재무 건전성이 높은 기업을 찾기 위해 재무제표, 분기별 실적, 산업의 사이클 등 투자 시 체크해야 할 항목들이 많습니다.
지수 투자의 장단점
반면 지수 투자는 개별주에 비해 체크해야 할 항목이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그저 어떤 나라의 지수에 투자할지만 고르면 됩니다.
그만큼 개별주에 비해 고민하는 시간, 기업에 대해 조사하고 공부하는 시간이 적게 걸립니다.
또 S&P500의 경우에는 미국에 상장된 500개 기업, 나스닥 100의 경우에는 100개 기업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알아서 지수에 편입되고 퇴출되는 회사들이 리밸런싱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수에 전반적으로 투자하는 것이다 보니 수익률이 평균 수익률을 초과할 수는 없습니다.
S&P500의 경우에는 평균 7%, 나스닥은 10% 정도 수익을 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지수에 포함되지 않은 기업에는 투자할 수 없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화베의 선택
저는 거의 주식 포트의 95%가 나스닥 지수에 투자하는 상품인 TQQQ입니다.
개별종목 중에서는 테슬라만 투자 중입니다.
처음에는 저도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개별주 위주의 투자를 했습니다.
그런데 개별주를 일일이 분석하는 것도 힘들뿐더러 그렇게 노력해도 지수투자 수익률보다 좋지 않아서 지수투자로 투자 방식을 바꿨습니다.
여러분은 시간 대비 효율성 높은 지수 투자와 시장 지수보다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도 있는 개별주 투자 중 어떤 곳에 투자하고 계신가요?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HU 주식 병합 소식 (0) | 2025.03.28 |
---|---|
AI발전에 필요한 기반 산업 알아보기 (1) | 2025.03.15 |
TSLA vs TSLL 둘 중 누가 수익률이 더 높을까? (0) | 2025.03.12 |
변동성 끝판왕 테슬라 사업 분석 및 내가 흔들리지 않는 이유 (0) | 2025.03.09 |
러닝하는 사람이면 다 아는 회사, 가민(GRMN) (1) | 2025.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