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코인

비트코인으로 노후 준비를? 노후 준비에 필요한 비트코인은 몇 개일까?

by wbhistory 2025. 2. 16.

 유튜브 알고리즘에 아래의 영상이 소개되었습니다. 

이장우의 비트코인 저금통

 그래서 영상을 봤는데 비트코인 1개면 충분하다고 말씀하더라고요. 왜 그런지 궁금한 분들은 영상을 보고 오시는 걸 추천합니다.

 

 진짜인지 궁금해서 챗GPT와 퍼플렉시티의 도움을 받아 계산해 보았습니다.

 

계산 전 자료 조사, 결과

 계산을 맞기기 전 한국인의 평균 은퇴 연령, 개인과 부부 기준의 적정노후생활비, 한국인의 평균 수명을 인터넷으로 조사했습니다. 

✅ 한국인의 평균 은퇴 연령: 대기업 직장인 기준 평균 49.8세, 중견 및 중소기업 직장인 평균 51.7세
✅ 필요적정 노후생활비: 서울 거주 개인 219만 8천 원, 부부 337만 1천 원
✅ 한국인 평균 수명: 82.7세

 

 제가 조사했던 신문 기사와 자료입니다. 

YTN기사에서 발췌
한국인 평균 수명한국인 필요적정노후생활비
좌: 한국인 평균 수명, 우: 한국인 필요적정노후생활비

 가장 보수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은퇴 연령은 대기업 기준인 평균 50세, 평균 수명은 83세로 가정해서 AI에게 계산시켰습니다.


 비트코인으로 노후준비를 한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비트코인의 연평균 수익률도 조사를 해봤습니다. 연평균 수익률은 아래 사이트에서 참고했습니다. 사진을 클릭하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비트코인 연평균 수익률
비트코인 연평균 수익률

 이 사이트에 의하면 최근 13년간의 비트코인 연평균 수익률은 107.4%라고 합니다. 연평균 수익률에서 100 이상의 숫자를 보다니... 믿기지 않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의 시총이 커짐에 따라 수익률이 전과 같을 수는 없기 때문에 조금 더 보수적으로 나온 자료를 찾아보다가 아래 기사를 발견했습니다.

 

 비트맥시인 마이클 세일러의 인터뷰 내용입니다. 요약하면 향후 21년간 비트코인의 연평균수익률은 29% 정도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마이클 세일러의 비트코인 연평균 수익률 전망치
마이클 세일러의 비트코인 연평균 수익률 전망치

 따라서 통계에 기반하여 비트코인의 연평균 수익률이 107% 일 때, 50%일 때, 29%일 때 3가지로 나누어 계산을 시켰습니다.

 

1. 비트코인의 연평균 수익률이 107%일 때

 비트 이 자료를 근거로 챗GPT와 퍼플렉시티에게 계산을 시켰습니다.  코인의 시총이 미국 빅테크 기업과 견주어도 작지 않을 만큼 커졌기 때문에 예전과 같은 수익률을 보여줄 것이라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운 수치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궁금해서 계산을 시켜봤습니다.

 

 비트코인의 가격은 2025년 2월 16일 가격인 13,248만 원을 기준으로 계산했다고 합니다.

  개인 기준 부부 기준
비트코인 개수 약 0.16개 약 0.25개
매수금액 약 2,120만 원 약 3,312만 원

 희망회로를 풀가동해서 비트코인의 연평균 수익률이 예전처럼 107%가 나와준다면 부부 기준으로 해도 소나타 한 대 가격으로 33년간의 노후준비가 끝이 납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한 것처럼 연평균 수익률 107%는 앞으로는 힘들 것이라 생각하여 수치를 연평균 수익률 50%로 낮춰보았습니다.

 

2. 비트코인의 연평균 수익률이 50% 일 때

 연평균 수익률 50%는 단순히 제가 임의로 정한 수치입니다. 107%의 절반보다 조금 안 되는 수치를 적용해 봤습니다. 

 

 이 경우 개인과 부부 기준 필요한 비트코인 개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은 위와 동일한 13,248만 원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개인 기준 부부 기준
비트코인 개수 약 0.66개 약 1.02개
매수금액 약 8,792만 원 약 13,484만 원

 연평균 수익률이 반 이상 줄어드니 노후 대비용으로 필요한 비트코인의 가격이 급상승했습니다. 아쉽게도 부부 기준으로는 1억 3천5백만 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도 다른 자산군으로 노후 대비하는 것보다는 훨씬 저렴하게 노후대비하는 것입니다.

 

3. 비트코인의 연평균 수익률이 29% 일 때

 마지막으로는 마이클 세일러가 말한 연평균 수익률 29%로 가정하고 계산한 결과입니다.

  개인 기준 부부 기준
비트코인 개수 약 0.95개 약 1.46개
매수금액 약 12,585만 원 약 19,342만 원

 맨 처음 유튜브 영상에서처럼 개인 기준 거의 비트코인 1개, 부부 기준으로는 1.5개 정도 있으면 노후 준비가 끝납니다. 금액으로는 거의 개인은 1억 2천6백만 원, 부부는 1억 9천350만 원만큼 매수하면 됩니다.

 

주의사항

 이것만 보면 '지금이라도 비트코인 1.46개만 사면 끝이니까 얼른 살까?' 하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런 식으로 매수하는 것은 뜯어말리겠습니다.

 

 왜냐하면 비트코인은 제가 전에 포스팅한 것처럼 변동성이 어마어마한 자산이기 때문입니다. 얼마나 큰 지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MDD차트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5.02.13 - [재테크/코인] - 변동성과 MDD를 이용한 비트코인, 이더리움 투자 전략

 

 비트코인의 하락장 MDD는 보통 -75%에서 -80% 정도입니다. 숫자로 표현하면 감이 안 올 테니 수치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지금 노후준비한다고 비트코인에 2억을 투자하면 하락장에서 최대 -80% 이상 떨어질 수 있습니다. 2억에 산 비트코인이 4천만 원 또는 그보다 더 크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 하락을 투자를 해본 적도 없는 개인이 견딜 수 있을까요? 그리고 투자 경험이 많은 베테랑도 솔직히 MDD -80%는 견디기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저도 솔라나가 FTX 파산 사태로 220달러 부근에서 산 게 -90% 이상 하락해서 13달러 부근까지 내려갔을 때는 진짜 패닉이었습니다. 도저히 견딜 수 없어서 손절했습니다. 해당 자산에 대한 믿음 없이 투자를 하니 하락이 너무 고통스러웠습니다.

 

 그래서 투자를 하실 거면 매우 신중하게 접근했으면 좋겠고, 뉴스에서 비트코인은 튤립 사기다, 비트코인 망했다는 말이 들릴 때 관심을 갖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결론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노후 준비 자산으로 비트코인은 적합한 자산이라고 생각합니다. 인플레이션 헷지, 장기적으로 보면 꾸준히 우상향 하는 자산군, 많은 국가들의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 증가 등의 이유 때문입니다.

 

 다만 변동성이 상상이상으로 매우 크기 때문에 비트코인이 최소 -70% 이상 하락했을 때부터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다가 천천히 분할매수로 접근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 글은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모든 투자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