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인베스트먼트는 제출기한이 1월 31일까지인가였고, 델리오 파산채권신고는 2월 21일까지입니다. 우편으로 보내도 되고 전자접수해도 되는데 저는 전자접수로 했습니다.
전자접수 하는 법
1. 전자소송포털에 접속
전자 소송포털에 접속합니다. 링크는 아래에 첨부합니다.
https://ecfs.scourt.go.kr/psp/index.on
2. 로그인하기
회원가입 안 한분들은 회원가입해야 합니다. 무슨 보조프로그램도 많이 깔라고 해서 생각보다 이 단계에서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3. 서류제출 - 회신서 등 제출 클릭

4. 채권신고서 클릭

5. 사건 번호 입력
사건 관련 등기우편에 나와있는 사건번호에 맞게 입력해 줍니다. 델리오 사건은 2024 하합 100231입니다.

6. 체크 후 당사자 작성 클릭

7. 채권자 기본정보 입력 후 등록
내 정보 가져오기를 하면 당사자명, 주소, 송달장소, 연락처, 이메일이 기본으로 다 입력됩니다. 읽어보고 이상 없으면 등록을 누르면 됩니다.

8. 알림 서비스 신청
등록하면 채권자 목록에 비어있던 공란에 내 이름이 적히게 됩니다.

알림 서비스에서 설정을 누르고 이메일 알림 받기를 체크합니다. 톡이나 문자는 1건당 돈이 나가기 때문에 이메일로 했습니다.

9. 첨부서류 등록
파일 찾기를 눌러 신고내역서, 관련 증빙서류, 주민등록등본, 위임장(인감증명서 포함), 예금통장 사본을 첨부해 줍니다.
파일 형식은 한글, PDF, 사진 전부 됩니다. 예금통장 사본의 경우에는 직접입력으로 입력해서 첨부하면 됩니다.

아래 첨부서류 목록에서 빠진 서류가 없는지 확인한 후 이상이 없으면 등록버튼을 누릅니다.

저는 위임장을 내지 않을 거라 뺐습니다. 그리고 작성완료를 누르면 파일을 알아서 PDF로 변환하는 작업을 거칩니다.
10. 최종 확인
첨부파일을 잘못 올리지는 않았나, 틀린 내용이 없나 마지막으로 확인합니다. 저는 첨부파일 틀려서 다시 태초마을로 돌아갔습니다.
만약 저처럼 틀린 분들은 이전으로 가기를 누르면 다시 서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제출하려는 서류에 이상 없으면 이상이 없음에 체크한 후 확인완료를 누릅니다.

11. 접수증명신청서 생성
접수증명신청서 생성을 눌러서 접수했음을 증명해 주는 서류를 발급합니다. 알아서 제출서류의 맨 마지막에 접수증명신청서가 기재됩니다.

접수증명신청서를 누르고 나면 아래 부분이 약간 바뀝니다. 1통으로 바꿔준 후 문서 제출을 누르고 인증서 로그인 한 번 해주면 접수 완료입니다.

완료되면 이런 화면이 뜹니다. 이제 끝났습니다.

낸 서류를 확인해보고 싶으면 나의 전자소송-나의 문서함-제출서류-조회해보보면 제출했던 서류를 볼 수 있습니다.

델리오는 진짜 천운이 따랐는지 23년 6월 초에 이더리움 1년 스테이킹해놓은 게 풀려서 대부분의 물량을 거래소로 옮겼었습니다. 그래서 이더리움은 피해를 안 봐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델리오에 묶여있는 비트코인은 0.02개, 이더리움은 0.098개 정도입니다. 현재 빗썸 시세로 비트코인은 295만 원, 이더리움은 39만 원 정도입니다. 다 합쳐서 330만 원 조금 넘는다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사실 델리오 말고도 하루인베스트에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묶여있습니다. 비트코인은 0.1개, 이더리움은 0.047개 묶여있네요. 하루에 묶인 비트코인은 약 1475만 원, 이더리움은 19만 원입니다.
델리오랑 하루 둘 다 합치면 1,828만 원이나 되네요? 하하하하하하
상환 방식은 현물 지급, 현금 지급이 있을 텐데 FTX의 상환을 보면 현금으로 지급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리고 현금 지급도 비트코인 가격을 언제로 할 것인가도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영업을 정지한 23년 6월로 할지 아니면 파산이 선고된 24년 11월로 할지 미지수인 상태입니다.
저는 뉴스에 나온 분들처럼 예치 금액이 크지 않아서 이렇게 생각하는 거지만 돌이킬 수 없는 과거를 붙잡아도 잃어버린 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돌아오지는 않으니까요.
그래서 어차피 하루랑 델리오 망했을 때 없어진 돈이라고 생각한 거 계속 없는 돈인 셈 치려고 합니다. 조금이라도 돌려받으면 땡큐고요.
FTX가 상환을 시작했으니 하루와 델리오도 피해자들에게 조금이나마 긍정적인 소식을 들려주기를 바랍니다.
'재테크 >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으로 노후 준비를? 노후 준비에 필요한 비트코인은 몇 개일까? (0) | 2025.02.16 |
---|---|
변동성과 MDD를 이용한 비트코인, 이더리움 투자 전략 (0) | 2025.02.15 |
지루한 횡보장과 나의 알트코인 수익률 (0) | 2025.02.11 |
마이클세일러의 투자법의 리스크 알아보기 (0) | 2025.02.10 |
알트코인 불장은 언제올까? 반감기 사이클에 따른 분석 (0) | 2025.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