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포스팅에서 연말정산 미리 보기 자동계산을 통해 세금을 토해내야 한다는 슬픈 소식을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올해에는 연말정산을 위해 고향사랑기부제를 10만 원 납입할 생각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고향사랑기부제가 어떤 제도인지, 추천 답례품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고향사랑기부제란?
고향사랑기부제란 개인의 자발적인 기부를 통해 지방 재정을 확충하고, 지역특산품 등을 답례품으로 제공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하고자 하는 정책입니다.
2023년 1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 정책입니다.
기부 한도
포스터에는 연간 최대 500만 원까지 기부할 수 있다고 나와있지만 24년도부터 2천만 원까지 기부할 수 있습니다.
기부자 혜택
10만 원까지는 전액 세액공제가 되고, 10만 원 초과분은 16.5% 세액공제가 됩니다.
그래서 연말정산 목적으로 기부할 분들은 10만원만 기부하는 게 제일 좋습니다.
답례품은 기부금의 30%이내의 지역특산품 등을 제공합니다.
기부금은 가족에게 양도(?)할 수 없고, 올해 세액공제 적용하지 않고 내년에 받는 건 안됩니다.
고향사랑기부제 기부하는 방법
1. 사이트 접속
먼저 아래 링크를 클릭해 고향사랑기부제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ilovegohyang.go.kr/main.html
기부 방식이 두 가지가 있는데 답례품을 받고 싶다면 자치단체에 기부하기를 누르고, 특정사업에 기부하고 싶다면 파란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보통 답례품을 받을 수 있는 자치단체에 기부하기를 많이 선택합니다.
2. 로그인 후 정보 입력하기
클릭하면 이렇게 로그인하라는 창이 나옵니다. 로그인하면 기부하고 싶은 지자체를 고르라는 화면이 뜹니다.
이 때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은 기부할 수 없습니다.
기부 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주민번호 뒷자리를 입력한 후 주소확인하기를 누릅니다. 자기 지역을 고르지 않았다면 기부가 가능하다고 뜹니다.
저는 답례품으로 장수 사과를 먹고 싶어서 장수군을 골랐습니다.
나머지 항목들을 동의하기 누르고 기부금 납부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이런 알림 창이 하나 뜹니다.
3. 기부금 납부하기
기부금은 간편결제, 계좌이체, 신용카드 납부 중 편한 방식으로 하면 됩니다. 대신 결제 후 마음이 변했다고 기부금 환불해 달라고 할 수 없으니 신중하게 기부를 할지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4. 답례품몰 들어가기
답례품은 고향사랑e음 사이트의 답례품-답례품몰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답례품몰에 들어가보면 지역 특산품도 있지만 지역사랑상품권, 생활용품, 관광서비스까지 다양한 종류의 상품이 있습니다.
보통 세액공제 100%되는 10만 원 공제를 하게 되면 3만 포인트를 얻게 되니 3만 포인트 이하를 클릭해 줍니다.
혹시 특정지역의 특산물을 사고 싶은 분들은 아래 사진 빨간 상자 부분의 '지자체몰 선택하기'를 눌러 해당 지역을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고향사랑기부제 추천 답례품
개인적으로 사과, 배 같은 과일류, 쌀, 기름류, 한우, 지역상품권 또는 유명한 가게의 상품권이 좋아 보였습니다.
성심당 3만 원권, 이성당 단팥빵 15개 세트도 있어서 빵 좋아하시거나 성심당 갈 일 있으면 이런 상품을 구매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장수 사과가 맛있어서 올해는 장수군에 기부를 하고 사과를 받을 예정입니다.
'재테크 >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움증권 해외주식 양도세 대행신고 당사신청 하는 법 (0) | 2025.03.21 |
---|---|
2025년부터 임직원 할인도 과세된다 (0) | 2025.01.30 |
올해는 세금을 얼마나 돌려받을까? 연말정산 미리보기 자동계산 (0) | 2025.01.16 |
연말정산 시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중 무엇이 더 유리할까? (0) | 2024.12.21 |
OK저축은행 짠테크 통장 파킹통장 7%나 준다고? (0) | 2024.1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