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시장이 하락할 때 여러분은 어떻게 대응하시나요? 더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하여 손절을 할 수도 있고, 그저 가만히 다시 회복되기를 기다릴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하락은 매수 찬스라고 생각하며 추가 매수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QQQ의 하락 시기 백테스팅을 통하여 하락 시기에 계속 회복되기를 기다리는 것이 좋은지, 용기 내서 추가매수 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백테스팅 상황 설정
먼저 백테스팅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아래 조건으로 설정 후 백테스팅을 진행했습니다. 환율은 동일하게 1100원으로 설정했습니다.
1️⃣투자 금액: 2천만 원
2️⃣투자 기간은 아래 표 참고
3️⃣투자 방법
✅1번 방식
- 2천만원 시가로 거치식 투자
✅2번 방식
- 1천만원 시가로 거치식 투자 + 주가가 -10% 하락할 때마다 100만 원씩 추가매수(추가매수 횟수는 10회가 최대)
같은 2천만 원을 투자한다고 했을 때 1번 방식을 거치식으로 2천만원을 한방에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반면 2번 방식은 절반인 천만원만 투자 후 나머지 천만 원은 주가가 -10%씩 하락할 때마다 100만 원씩 물타기 하는 방식입니다. 공정성을 위해 물타기 횟수는 10회로 제한했습니다.
투자에 들어가는 각종 세금, 수수료, 배당은 제외하였습니다.
제가 백테스팅 기간을 설정했던 구간을 표로 정리했습니다. 차트를 보고 하락폭이 커보인 구간만 잡았습니다.
순 | 기간 | 일수 | 하락폭 |
1 | 2010.4.19-2010.8.23 | 89 | -39.56% |
2 | 2011.4.25-2011.11.21 | 148 | -37.53% |
3 | 2012.4.2-2012.11.12 | 162 | -27.68% |
4 | 2015.7.13-2016.2.8 | 146 | -42.36% |
5 | 2018.8.27-2018.12.17 | 78 | -56.52% |
6 | 2020.2.10-2020.3.16 | 25 | -71.42% |
7 | 2021.11.15-2022.12.30 | 284 | -81.10% |
백테스팅 결과 분석
2010-2012년까지의 하락장 분석
위의 표에서 1-3번이라고 적힌 구간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횡보에 가까운 구간이고 하락폭은 -27%에서 -40% 사이로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방법 1과 2대로 투자를 했을 경우 평단가와 수익률입니다.
방법1 평균가 | 방법1 수익률 | 방법2 평균가 | 방법2 수익률 | |
2010.4 - 2010.8 | 0.62 | -31% | 0.5799 | -26% |
2011.4. - 2011.11 | 0.93 | -29% | 0.8402 | -21% |
2012.4. - 2012.11 | 1.24 | -19% | 1.1951 | -15% |
2010년 4월부터 8월까지는 총 추매가 3번,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는 4번, 2012년 4월부터 2012년 11월까지는 2번 있었습니다.
2015-2018년까지의 하락장 분석
이 시기도 -42%, -56%로 최근에 있던 하락보다는 하락폭이 적은 편입니다.
방법 1과 2대로 투자를 했을 경우 평단가와 수익률입니다.
방법1 평균가 | 방법1 수익률 | 방법2 평균가 | 방법2 수익률 | |
2015.7 - 2016.2 | 4.60 | -35% | 4.3946 | -32% |
2018.8 - 2018.12 | 17.2 | -42% | 15.3656 | -35% |
추가매수를 2015년 7월부터 2016년 2월까지는 2번, 2018년 8월부터 12월까지는 4번 했습니다.
2020-2022년 하락장 분석
제일 최근의 코로나와 금리인상발 하락장 차트입니다. -71%와 -81%로 TQQQ가 완전 폭락했던 시기였습니다.
방법 1과 2대로 투자를 했을 경우 평단가와 수익률입니다.
방법1 평단가 | 방법1 수익률 | 방법2 평단가 | 방법2 수익률 | |
2020.2 - 2020. 3 | 26.50 | -65% | 19.9556 | -53% |
2021.11 - 2022.12 | 83.46 | -79% | 59.2599 | -71% |
2020년 2월부터 3월까지는 기간이 가장 짧았지만 하락폭이 기간대비 강했기 때문에 추가매수가 6번이나 있었습니다.
2021년 11월부터 22년 12월까지는 하락하고 횡보했던 기간이 길어서 7번 추가매수했습니다.
결론
지금까지의 내용을 표로 정리해보겠습니다.
기간 | 방법1 평단가 | 방법1 수익률 | 방법1 회복기간 | 방법2 평단가 | 방법2 수익률 | 방법2 회복기간 |
2010 | 0.62 | -31% | 36 | 0.5799 | -26% | 23 |
2011 | 0.93 | -29% | 49 | 0.8402 | -21% | 38 |
2012 | 1.24 | -19% | 69 | 1.1951 | -15% | 41 |
2015 | 4.60 | -35% | 114 | 4.3946 | -32% | 41 |
2018 | 17.2 | -42% | 143 | 15.3656 | -35% | 76 |
2020 | 26.50 | -65% | 77 | 19.9556 | -53% | 46 |
2021 | 83.46 | -79% | 381 | 59.2599 | -71% | 278 |
전체 하락한 기간 동안 추매한 구간이 항상 수익률이 더 좋았습니다. 어찌 보면 당연한 일입니다. 그 이유는 물타기를 해서 평균단가가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하락기간 이후 수익률이 다시 플러스로 양전 되는 데 걸리는 기간도 추매방식인 방법 2가 더 빨랐습니다.
특히 하락기간이 길었던 2021년 하락장은 110일 가까이 차이가 났습니다.
그러므로 하락한다고 가만히 있는 것보다는 반드시 하락할 때마다 기준을 정해서 추가매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럴 경우 다시 상승장이 왔을 때 회복되는 속도도 빠르고, 수익도 더 극대화됩니다.
그러니 하락이 무섭다고 가만히 있지 말고 열심히 추가매수하시기 바랍니다.
하락이 무섭다고 가만히 있는 건 무인도에서 밖으로 나가면 위험하니까 구조가 될 때까지 가만히 숨어있는 행동과 다를 것이 없습니다. 살아남으려면 식량이나 쓸만한 무기를 찾아 발버둥 쳐봐야죠!
언제까지 껄무새로 살 수는 없잖아요?
이 글은 종목에 대한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모든 투자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S&P500 레버리지, 인버스 ETF 알아보기(SSO, UPRO, SH, SDS, SPXU) (0) | 2025.05.09 |
---|---|
미국주식 나스닥 레버리지, 인버스 ETF 알아보기(QQQ, QLD, TQQQ, PSQ, QID, SQQQ) (1) | 2025.05.07 |
월 50만원, 월 100만원 받으려면 현대차2우B는 몇 주 있어야할까? (1) | 2025.04.15 |
국내 고배당주 현대차2우B, 현대차3우B 중 어떤 종목에 투자하는 게 나을까? (0) | 2025.04.14 |
NH투자증권에서 자꾸 연락이 온다?!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알아보기 (0) | 2025.04.08 |
댓글